맨위로가기

파타우 증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타우 증후군은 13번 염색체의 삼염색체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전 질환으로, 신체의 각 세포에 13번 염색체가 3개 존재하여 발생한다. 이 질환은 지적 장애, 발달성 협응 장애, 소두증, 전전뇌증, 다지증, 심장 결함 등 다양한 기형을 동반하며, 대부분의 환아가 생후 1년 이내에 사망하는 등 예후가 매우 좋지 않다. 파타우 증후군은 임상 소견과 태아 염색체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대증 치료를 시행한다. 1657년 토마스 바르톨린에 의해 처음 관찰되었고, 1960년 클라우스 파타우와 에바 테르만에 의해 13번 삼염색체성이 원인임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염색체 삼염색체성 - 다운 증후군
    다운 증후군은 21번 염색체 이상으로 발생하며, 신체적 특징, 지적 장애, 감각 이상과 더불어 면역력 저하, 심장 질환 등의 건강 문제를 동반하는 질환이다.
  • 상염색체 삼염색체성 - 에드워드 증후군
    에드워드 증후군은 18번 염색체 추가 복제로 발생하는 유전 질환으로, 신체 기형, 심장 결함, 발달 지연 등의 증상을 보이며, 출생아 5,000명 중 약 1명에게서 나타난다.
  • 증후군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증후군 - 수근관 증후군
    수근관 증후군은 손목터널 내 정중신경 압박으로 인해 저림, 통증을 유발하며 유전적 요인, 당뇨병, 반복적인 손목 사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고,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파타우 증후군
일반 정보
이름파타우 증후군
다른 이름삼염색체 13
D 삼염색체
T13
분야의학 유전학
파타우 증후군을 가진 유아의 [[구순열 및 구개열|입술갈림증]], 코 감소, [[눈구조이상|눈사이 좁음증]] ({{circa|1912}})
파타우 증후군을 가진 유아의 입술갈림증, 코 감소, 눈사이 좁음증 ()
이름의 유래클라우스 파타우
임상
발병 시기출생 시
원인13번 염색체의 세 번째 복사본
치료지지 치료
예후좋지 않음
빈도
모체 연령평균 모체 연령은 약 31세이다.
외부 링크
정부 간행물삼염색체 13: 간략한 설명

2. 원인

파타우 증후군은 13번 염색체의 삼염색체성(트리소미)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는 신체의 각 세포에 13번 염색체가 통상적인 두 개가 아닌 세 개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드물게 신체의 일부 세포에만 추가 염색체가 존재하는 모자이크형 파타우 증후군도 있다.

로버트슨 전좌에 의해 염색체 13의 일부가 다른 염색체에 부착될 때도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13번 염색체에 대한 부분 삼염색체성을 가지며, 증상은 전형적인 파타우 증후군과 다를 수 있다.

대부분의 파타우 증후군은 유전되지 않으며, 생식 세포(난자, 정자)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작위적인 염색체 비분리 현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난자 또는 정자 세포가 염색체의 추가 복사본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생식 세포가 수정되면, 아이는 신체의 각 세포에 추가적인 13번 염색체를 가지게 된다. 모자이크 파타우 증후군 또한 유전되지 않으며, 태아 발달 초기의 세포 분열 중 무작위적인 오류로 발생한다.

전좌형 파타우 증후군은 부모로부터 유전될 수 있다. 균형 전좌 보인자인 부모는 염색체 13의 추가 물질이 없으므로 파타우 증후군 증상이 없지만, 자녀에게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2. 1. 재발 위험

부모 중 한 명이 전좌 보인자가 아닌 경우, 부부가 파타우 증후군을 가진 아이를 다시 가질 확률은 1% 미만으로, 다운 증후군보다 낮다.

3. 증상

파타우 증후군을 앓는 아기의 여섯 손가락


파타우 증후군은 다양한 신체적 기형 및 발달 장애를 동반한다. 신경계, 근골격 및 피부, 비뇨생식기 계통에서 흔히 기형이 나타나며, 심장을 포함한 기타 부위에도 영향을 미친다. 구순열, 구개열, 두피 부분 결손, 다지증, 요람 모양의 발뒤꿈치와 같은 외형적 특징이 나타난다. 뇌 기형은 거의 필수적으로 나타나며, 경련이 동반되기도 한다. 80%의 사례에서 심각한 심혈관계 기형이 관찰된다[17]. 제대 탈장 등의 소화관 기형도 자주 발견되며, 정신 지체는 심각한 수준이다[15].

파타우 증후군 사례 1


파타우 증후군 사례 2: 남아. 단안증, 비강 형성 부전 등 중증 기형 동반


파타우 증후군의 염색체 (여아)

3. 1. 신경계


  • 지적 장애 및 운동 장애
  • 소두증
  • 전전뇌증 (전뇌가 제대로 분열되지 않음) 및 단안증과 같은 관련 얼굴 기형
  • 소안증, 피터스 이상, 백내장, 홍채 또는 안저 (결손증), 망막 이형성 또는 망막 박리, 감각 안진, 피질 시력 상실, 시신경 형성 저하를 포함한 구조적 눈 결함
  • 수막 척수 탈출증 (척수 결함)[4]

3. 2. 근골격 및 피부

파타우 증후군을 앓는 영아

  • 다지증 (여분의 손가락)[4]
  • [4]
  • 선천성 방아쇠 손가락[4]
  • 낮은 귀[4]
  • 튀어나온 뒤꿈치[4]
  • 요람 바닥 발이라고 알려진 변형된 발[4]
  • 배꼽 탈장 (복부 결함)[4]
  • 비정상적인 손바닥 패턴[4]
  • 엄지손가락 위로 손가락 겹침[4]
  • 피부 무형성 (피부/모발의 누락된 부분)[4]
  • 구개열[4]
  • 구순열[17]


3. 3. 비뇨생식기


  • 비정상적인 생식기[4]
  • 신장 결함[4]

3. 4. 기타

4. 진단

진단은 대개 임상 소견을 바탕으로 이루어지지만, 태아 염색체 검사에서 13번 삼염색체를 확인할 수 있다. 신체적 소견 중 많은 부분이 에드워드 증후군과 유사하지만, 다지증과 같은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에드워드 증후군다운 증후군과는 달리, 사중 스크린 검사는 이 질환을 선별하는 신뢰할 만한 수단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는 파타우 증후군을 가진 태아에서 보이는 결과의 가변성 때문이다.[6]

출생 전 진단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한국에서도 2013년부터 새로운 출생 전 진단이 도입되어, 양수 검사와 같은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 산모의 혈액 채취만으로 13번 삼염색체 증후군, 18번 삼염색체 증후군, 21번 삼염색체 증후군 등의 진단이 가능하게 되었다.

5. 치료

파타우 증후군을 앓는 아이들에 대한 의학적 관리는 환자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계획된다. 파타우 증후군의 치료는 각 아이가 태어날 때 가지고 있는 특정 신체적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많은 영아는 심각한 신경학적 문제 또는 복잡한 심장 결손으로 인해 처음 며칠 또는 몇 주를 생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7] 심장 결손 또는 구순열 및 구개열을 치료하기 위해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물리 치료, 작업 치료 및 언어 치료는 파타우 증후군을 앓는 개인이 최대한의 발달 잠재력에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7] 생존한 아이들은 행복하다고 묘사되며 부모는 아이들이 삶을 풍요롭게 한다고 보고한다.[7]

6. 예후

파타우 증후군을 가진 영아의 약 90%는 생후 1년 이내에 사망한다.[8] 1년 이상 생존하는 아이들은 대개 지적 장애, 발작, 정신운동 문제를 동반한 심각한 장애를 갖는다. 모자이크 변이의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덜 영향을 받는다.[9]

캐나다의 한 후향적 연구에 따르면, 174명의 13번 삼염색체증(파타우 증후군) 환아의 중간 생존 기간은 12.5일이었다. 공격적인 외과적 중재를 받은 환자를 포함하여 1년 생존율은 19.8%, 10년 생존율은 12.9%였다.[10] [20]

출산에 이르는 경우는 4%이며, 96%는 사산 또는 유산으로 이어진다.[22] 출생하더라도 생후 1개월 이내에 80%가 사망하며, 1년 동안 생존할 수 있는 경우는 10% 정도로 알려져 있다.[18] 유전자 이상이 일부 세포에만 국한되는 모자이크 패턴의 사례는 예후가 비교적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7. 역사

1657년 토마스 바르톨린이 파타우 증후군을 처음 관찰했고,[11][12] 1960년 클라우스 파타우와 에바 테르만이 이 질환이 13번 삼염색체성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을 밝혀냈다.[13] 이 질환은 파타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8. 사회적 측면

영국과 웨일스에서는 2008-2009년에 172건의 파타우 증후군 진단이 있었으며, 이 중 91%가 출생 전 진단을 받았다.[22] 이 중 111건은 인공 임신 중절되었고, 14건은 유산 또는 사산되었다. 17건은 출산에 이르렀음이 확인되었지만, 나머지 30건은 출산 경과를 추적할 수 없었다.[22] 영국에서는 2004년부터 모든 임산부에게 출생 전 태아 진단을 받도록 강력하게 권장하고 있다.[21] 일본에서도 2013년 4월부터 새로운 출생 전 진단이 시작되어, 양수 검사와 같은 위험 부담 없이 산모의 말초혈 채취만으로 13번 삼염색체 증후군, 18번 삼염색체 증후군, 21번 삼염색체 증후군 등의 진단이 가능하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risomy 13: description in brief https://www.gov.uk/g[...] 2020-12
[2] 웹사이트 Prevalence and Incidence of Patau syndrome http://www.wrongdiag[...] Adviware Pty Ltd. 2008-02-17
[3] 웹사이트 About.com > Patau Syndrome (Trisomy 13) http://miscarriage.a[...] 2009-06-10
[4] 서적 Diseases of the eye and skin: a color atlas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04-13
[5] 웹사이트 Trisomy 13: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www.nlm.nih.[...] 2010-04-12
[6] 서적 Blueprints Obstetrics & Gynecolog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7] 논문 The experience of families with children with trisomy 13 and 18 in social networks 2012-08-01
[8]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9] 웹사이트 Patau's Syndrome (Trisomy 13) http://www.patient.c[...] 2014-07-03
[10] 논문 Survival and Surgical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Trisomy 13 and 18 http://jamanetwork.c[...] 2016-12-03
[11] 웹사이트 WhoNamedIt http://www.whonamedi[...]
[12] 서적 Historiarum anatomicarum rariorum centuria III et IV. Ejusdem cura accessere observationes anatomicae. https://books.google[...] Vlacq 1656
[13] 논문 Multiple congenital anomaly caused by an extra autosome
[14] 웹사이트 National Down Syndrome Cytogenetic Register Annual Reports 2008/09 http://www.wolfson.q[...]
[15] 웹사이트 WhoNamedIt http://www.whonamedi[...]
[16] 논문 Multiple congenital anomaly caused by an extra autosome
[17] 문서 メルクマニュアル 2005年11月版
[18] 웹사이트 http://www.ncbi.nlm.[...]
[19] 웹사이트 Patau's Syndrome (Trisomy 13) http://www.patient.c[...] 2014-07-03
[20] 웹사이트 urvival and Surgical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Trisomy 13 and 18 http://jamanetwork.c[...] 2016-12-03
[21] 웹사이트 “Down’s syndrome -The UK NSC policy on Down’s syndrome screening in pregnancy,” National Health Service http://www.screening[...]
[22] 웹사이트 National Down Syndrome Cytogenetic Register Annual Reports 2008/09 http://www.wolfson.q[...]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